본문 바로가기
주식

순환출자란? 지주회사의 뜻은? (경제 기초용어)

by 암지 2022. 9. 13.
반응형

 안녕하세요. 암지입니다.

 지난 번에 상호출자에 관련하여 말씀을 드렸습니다. 하지만 이 상호출자는 여러가지 부작용으로 인해 정부에서 금지를 하였는데요. 그래서 기업들이 생각해낸 꼼수가 바로 이 순환출자입니다.

순환출자의 뜻과 문제점

 A와 B 각각 출자하는 방식으로 자본금을 키워가는 상호출자와는 달리 순환출자는 A, B, C, D ... ... 계속 기업과 기업을 엮어 출자를 하여 자본금을 늘리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상호출자의 좀더 복잡한 구조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이전에 많은 대기업들이 이 순환출자의 방식을 통해 몸집을 불렸고 기업들의 지분을 늘려 지배구조를 넓혀나갔는데요. 하지만 이 순환출자에도 큰 문제점들이 있습니다.

 

1. 계열사 한 곳이 부실해지면 다같이 도산할 수 있습니다.

 순환출자의 방식 자체가 수많은 기업과 기업끼리 적은 자본으로 자본금들이 묶여있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한 곳이 무너지기 시작하면 연쇄부도가 날 수 있습니다. 예전 IMF를 기억하시나요?

 그 당시 대기업이라고 불렸던 삼미, 진로, 대농, 한신공영 등등의 회사들이 연쇄 부도 사태가 있었습니다. 이 때 대부분의 기업들이 이 순환출자의 문제점을 인식하지 못하고 몸집을 불린 결과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2. 경영권을 방어하기 어렵습니다.

 적은 자금으로 자본금을 늘려 기업을 키웠다는 것은 반대로 다른 사람들도 적은 돈으로 경영권에 쉽게 침투할 수 있겠죠.

 3. 외국기억의 적대적 M&A

 4. 경영권 세습 악용

 5. 회사의 지배구조 왜곡

 다양한 문제점들이 있지만, 가장 큰 사건이었던 IMF를 기점으로 정부는 현재 순환출자를 막고 지주회사 형식의 형태로 바꾸길 지향하고 있습니다.

지주회사란?

 자본을 순환시켜 자본을 가공하는 순환출자 방식을 지양하는 지주회사의 방식은 지주회사를 기점으로 여러 회사에게 자본금을 출자합니다. 주식시장에서 많이 보았을 겁니다. '~홀딩스'라고 불리는 회사들을요. 이런 지주회사들은 기업들의 자본을 쥐고 기업들을 컨트롤하는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합니다.

 지주회사의 자격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주회사의 자산의 절반 이상이 자회사 주식으로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2. 자회사 이외의 다른 주식을 보유할 수 없습니다.

 3. 주식시장에 상장한 자회사는 20%, 비상장 자회사는 40%의 지분을 반드시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 이외의 다양한 조건들이 있지만 가장 큰 틀은 이정도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어떻습니까? 순환출자와는 다르게 자격 요건도 까다롭고 돈도 많이 들어가겠죠? 하지만 어떤 기업이든 간에 큰 자본이 있다면 그만큼 안전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어찌보면 이것 또한 부풀려진 장부에 속아 투자하려는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함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상 순환출자와 지주회사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저도 계속 경제용어 쪽을 공부하며 포스팅하고 있는데 주식을 그래도 5년을 넘게 했는데 '~홀딩스'의 개념을 이제 알았다니 조금 부끄럽네요.

 이상 암지였습니다.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