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암지입니다. 오늘은 주식시장에서 어느 기업의 차트를 분석할 때 쓰이는 가장 흔한 기술적 보조지표 중 하나인 이동평균선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이동평균선 이란?
이동평균선은 보통 줄여서 이평선, 이평이라고도 불리며 영어로는 MA(Moving average)로 불리고 있습니다. 보통 주식차트를 보시면 왼쪽 상단에 표시되며 5, 10, 20, 60, 120일선이 기본으로 세팅되어 있습니다.(증권사마다 다를 수 있지만 대부분 기본세팅.)
그렇다면 이 5, 10, 20, 60,120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바로 5(일주일), 10(2주), 20(한달), 60(분기), 120(반년)일 동안 움직인 주가를 선으로 이은 것입니다.
어디에 쓰일까?
주가는 사람의 심리와 시장상황에 의해 결정되고 이동평균선은 그 주가의 평균을 낸 것이기 때문에 이를 통해 과거와 현재의 주가의 흐름을 분석하여 미래 주가방향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만약 5, 10, 20, 60, 120일이 순서대로 위부터 아래로 놓여있다면 정배열이라고 하여 주가가 앞으로 오를 것을 예측할 수 있고, 반대로 역배열로 120일선이 가장 위에 있다면 주가가 떨어질 것임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주가가 상승추세인지 하락추세인지 예측할 수있을 뿐만 아니라 차트를 보시면 이동평균선은 지지선 혹은 저항선이 역할을 하기도 하는데요.
주가가 상승하다 하락할 때 이동평균선에 닿을 때마다 다시 상승으로 바뀌는 것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하락추세일 때는 상승 시 위의 이평선을 맞고 다시 하락하는 경우가 많죠.
그리고 이런 이동평균선이 지지, 저항선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뚫린다면 추세가 바뀌었는지를 고려해보아야 합니다.
총평
이동평균선에 대해서 배워보았는데요. 이처럼 주가의 추세를 알고 이동평균선의 지지와 저항을 보며 매수, 매도 포인트를 잡을 수 있다는 것이 큰 매력인 지표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런 기술적인 지표는 그 기업이 탄탄하고 우상향을 한다는 가정하에 가능하며 그렇기에 주식시장에서 차트의 기술적 분석 뿐만 아니라 기업의 가치분석도 같이 이뤄져야 리스크를 줄이고 큰 손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죠.
이상 암지였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RSI 의 정의와 매매기법 (0) | 2022.09.27 |
---|---|
주식의 기본 핵심지표! 거래량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9.20 |
권리 공매도 란 무엇일까? (주식 기초 용어) (0) | 2022.09.15 |
순환출자란? 지주회사의 뜻은? (경제 기초용어) (0) | 2022.09.13 |
상호출자란 무엇일까?(주식기초용어) (1) | 2022.09.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