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암지입니다.
오늘은 주식차트에서 흔히 쓰이는 보조지표인 RSI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이동평균선에 이어 자주 쓰이는 지표이니 함께 배워보도록 할게요.
RSI의 해석

RSI(Realative Strength Index)는 상대 강도지수라고도 불리며 가격의 상승 및 하락의 '상대적인 강도'를 보여줍니다. 일정 시간의 주가가 전월, 전주, 전 시간에 비해 상승했는지 하락했는지를 보여주는 가시적인 지표인데요.
즉, 현재 시장이 과열(매수가 강하여 가격 상승)되었는지 아니면 과매도(매도가 강하여 가격 하락) 구간인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RSI가 크다면 상승추세, 작다면 하락 추세라고 판단하고요. 식으로 보자면 이렇습니다.
Rs = Au / Ad
RSI = Rs / (1 + Rs) X 100
Au = n일간의 평균 상승폭
Ad = n일간의 평균 하락폭
n의 기간에 따라 단기 혹은 장기적인 추세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RSI를 통한 매매기법
보조지표로 RSI를 선택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캔들차트 맨 아래에 뜨게 됩니다.

RSI 14란 위에서 설명한 방정식의 n을 14일로 선정하여 얻은 선으로써 RSI를 처음 만든 저자가 권장한 기간입니다. RSI가 상승하다 위쪽 70을 넘으면 보시는 바와 같이 색깔로 표시됩니다. 이 구간을 과열 구간이라 하고 매수가 필요 이상 과열되었기 때문에 주가가 더 이상 오르지 못하고 내려가는 것을 뜻합니다.(매도 타점)
반대로 RSI가 30 이하로 떨어진 구간을 과매도 구간이라 하며 매도세가 끝나고 다시 오르는 것을 뜻하죠.(매수 타점)

정리해보자면,
기간 n = 14일 설정
RSI 70 이상 = 과열 구간. 하락 추세 전환 예정. 주식 매도 구간.
RSI 30 이하 = 과매도 구간. 상승 추세 전환 예정. 주식 매수 구간.
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총평
RSI를 기본 적으로 볼 줄 아시게 된다면, 다음으로 RSI-시그널과 RSI-다이버젼스와 같이 다른 지표와 함께 응용하여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RSI 70 이상이면 매도, 30 이하라면 매수라는 쉬운 구조와 원리로 되어있어 정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만큼 열심히 공부해보시고 차트에도 대입해보시면서 곱씹어 이해를 해보도록 노력해보시면 언젠가 주식 고수가 돼서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이상 암지였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D의 개념과 실전 적용법 (0) | 2022.09.29 |
---|---|
볼리저 밴드의 뜻과 매매기법 (0) | 2022.09.28 |
주식의 기본 핵심지표! 거래량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9.20 |
이동평균선, MA 는 무엇일까? (0) | 2022.09.17 |
권리 공매도 란 무엇일까? (주식 기초 용어) (0) | 2022.09.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