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MACD의 개념과 실전 적용법

by 암지 2022. 9. 29.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MACD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매매기법 중 정말 많이 쓰이는 기법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익히신다면 아주 많은 도움이 되실 겁니다. 늘 그렇듯이 기초이론과 실전 사용법을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MACD 란?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and Divergence)는 '이동평균 수렴 확산'이라는 뜻인데요. 지난 시간에 배웠던 이동평균선(MA)의 수렴과 확산을 이용하여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대하여 고안된 지표라 할 수 있습니다.
'확산 뒤 수렴, 수렴한 뒤 확산'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이를 통해 추세를 예측하는 것이죠.
이동평균선의 골든, 데드크로스로 예측하는 것과 비슷하나 더 빠른 예측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 지표의 핵심입니다.

MACD의 구성요소

MACD 지표 예시

MACD는 12일 이동평균선(단기선)과 26일 이동평균선(장기선)이 있으며 이 둘의 차이를 MACD선이라고 정하였습니다.
처음에는 이 선이 내려가면 매도 올라가면 매수하는 기법이었으나, 좀 더 정규화된 신호를 원했고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바로 시그널선입니다. MACD선의 장기 이동평균선(9일 이동평균선)을 추종하는 선을 또 하나 만든 것이죠.

MACD 상승 추세 전환 예측
MACD 하락 추세 전환 예측

이 둘을 이용하여 MACD선과 시그널선이 정배열이면 골든크로스(매수), 역배열이면 데드크로스(매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지표에 막대기들이 보이실 텐데요. 오실레이터라고 하는 것인데 MACD선과 시그널선의 차를 값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과매도 과매수 구간을 알 수 있으며, 추세 전환을 예측하여 매매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0을 기준으로 아래에 있다면 과매도 구간으로 매수, 위라면 과매수 구간으로 매도하는 식으로 말이죠.

총평

MACD에 대해 배워보았는데요. 보조지표 중에서도 상당히 신뢰성 높은 지표로 정평이 나있으니 잘만 활용하신다면 큰 수익을 안겨주는데 도움이 될 거라 생각됩니다.
모든 지표가 그렇듯이 절대 맹신하시면 안되고요. 여러 지표를 배우고 자신에게 맞는 최적의 지표를 모아 종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우리의 공부목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상 암지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