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볼리저 밴드의 뜻과 매매기법

by 암지 2022. 9. 28.
반응형

안녕하세요 암지입니다.
지난시간 RSI에 이어 볼린저 밴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볼린저 밴드란?

처음 이 지표를 만든 존 볼린저의 이름을 따서 볼린저 밴드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볼린저 밴드는 가격 중심선(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한선과 하한선이 존재합니다. 이를 나누는 계산식은

상한선 = 이동평균선(중심선) + 표준편차x2
하한선 = 이동평균선(중심선) - 표준편차x2

위의 식과 같습니다.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한선이 마치 길처럼 나있고, 주가의 변동성에 따라 확대 혹은 축소가 일어나기도 합니다. 이처럼 밴드처럼 길이 늘어났다 줄어들었다 한다하여 밴드라는 명칭이 붙었지요.

볼린저 밴드 사용 예시

위의 차트를 보며 예시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위쪽에 보시면 '볼린저 밴드 20,2'라고 쓰여져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이는 중심선의 이동평균선을 20일선으로 지정한 것이고 상하한선을 플러스 마이너스 표준편차x2을 한 것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보통 20일선은 중단기적으로 볼 때 쓰이며 단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실 경우 12일선을 장기적으로는 60일선이 주로 쓰이고 있습니다.

볼린저 밴드 매매기법

볼린저 밴드는 계산식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준편차를 이용하기 때문에 통계학 쪽에서 기법이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확률상 볼린저 밴드 내에서의 주가가 생성될 확률이 거의 95%라는 뜻입니다.(정규분포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상,하한선을 저항, 지지선으로도 볼 수 있겠습니다. 나머지 5%의 확률로 밴드를 벗어나 상승, 하락을 하게 될 수도 되는데요. 이 관점으로 매매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볼린저 밴드 매매기법 1~3

1. 볼린저 밴드 하한선을 만날 시 매수

볼린저 밴드의 하한선을 만날 경우 상승할 확률이 크기 때문에 하한선과 만나는 점을 타점으로 하여 매수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주가가 하한선을 뚫고 흐를 수도 있으니 이중바닥을 보고 들어가는 것이 포인트입니다.(두번째 터치 시 진입)

2.밴드가 수축 시 상한선과 주가가 만나면 매도

밴드 이완 이후 수축하며 상한선을 만나면 떨어질 확률이 크기 때문에 매도하는 전략입니다. 하지만 두,세 번 계속해서 상한선을 터치하는 모습이 반복된다면 밴드를 뚫는 것으로 판단하셔야 합니다.

3. 이중바닥 이후 상한선 돌파 시 매수

이중바닥으로 바닥을 다진 뒤 상한선(저항선)을 돌파한다면 매수합니다. 밴드를 돌파했다는 것은 박스권 횡보를 뚫고 추세를 내겠다는 말이기 때문에 이익을 크게 취할 수 있는 구간입니다.

볼린저 밴드 매매기법 4

4. 상승 추세 시 상, 하단 밴드가 수축하면 매도

상승 추세(3번 상황)에서 상, 하단 밴드가 수축(하한선이 위로 상승, 상한선이 아래로 하락)한다면 단기 조정일 확률이 크므로 매도 혹은 재상승을 기다립니다. 추격매수의 심리가 크게 드는 구간이기 때문에 참고 인내하셔야 하는 구간입니다.

볼린저 밴드 매매기법 4

5. 중심선 이탈, 돌파 실패 시 매도
상승 추세가 끝나고 하락 추세되는 구간입니다. 이탈 이후 다시 중심선 돌파 시도가 실패했다면 추세 전환일 확률이 크므로 매도합니다.

총평

볼린저 밴드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볼린저 밴드는 사실 수많은 기법이 있으나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가져왔구요. 차근차근 지표를 하나씩 배우고 종합적으로 사용하여 자신에게 맞는 검색식을 만드는 것이 매매할 때 가장 좋은 케이스라고 생각합니다.
이상 암지였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