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MFI 지표의 뜻과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자

by 암지 2022. 12. 15.
반응형

안녕하세요. 암지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MFI 지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FI란?

MFI란 Money Flow Index의 약자로 한글로 '자금흐름 지수'라고 합니다. 차트에 MFI 지표를 적용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주황색 선이 적용되는데 이것이 바로 MFI 선입니다.

MFI지표-예시

이 MFI 선은 상승과 하락 모멘텀이 어느 정도의 힘인지 확인할 수 있는데요. 다시 쉽게 설명하자면

  • MFI : 매수세와 매도세의 상대 강도를 측정하는 기술지표

라고 정의할 수 있겠습니다.

RSI와의 차이는?

언뜻 보기에는 RSI 지표와 비슷하게 보일 수 있는데요. 주식의 가격만을 추종하여 나타내는 RSI와는 달리 MFI는 주식의 가격과 거래량을 함께 사용하여 계산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MFI를 '거래량 + RSI'라고 부르기도 하죠.
MFI 지표는 0부터 100을 기준으로 80 이상이 넘어가면 과매수, 20 이하일 때는 과매도라고 이야기하며 계산하는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여기서 Money Flow Ratio는 거래대금 비율인데 그냥 의미 정도만 알고 계시면 될 것 같고요. MFI의 계산식에서의 의미는
  • MFI = 증가한 날의 거래대금 / 전체 거래대금

인데 실제로 사용하실 때는 80을 넘냐(과매수 구간이냐) 20 아래로 떨어지느냐(과매도 구간이냐)만 집중적으로 보시면 될 듯합니다.

MFI 활용하기

1. 과매도/과매수 매매전략

MFI매매전략1

보편적으로 MFI가 80 이상일 때 매도, 20 이하일 때 매수하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하락에서 상승하는 변곡 지점을 지표를 보며 예상하는 것인데요. 하지만 더 과열권인 시장에서는 더 오를 수 있는데 팔거나 더 떨어질 수 있는데 빨리 매수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수익의 극대화를 놓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좀 더 구체적인 기준을 두고 이를 보완하였는데요. 그것은 바로 과매도 기준선을 상향 돌파 시 매수, 과매수 기준선을 하향 돌파 시 매도한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MFI 지표를 사용할 시 비교적 저점 매수, 고점 매도가 가능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다이버전스 매매전략

MFI하방다이버전스
MFI상승다이버전스

다이버전스란 주가와 지표가 서로 반대로 움직이는 현상을 뜻하는데요. 주가 상승 시 MFI가 하락하면 하락 다이버전스, 주가 하락 시 MFI가 상승한다면 상승 다이버전스라고 말합니다. 이는 곧 추세의 전환을 알 수 있고 매수, 매도 전략을 세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MFI의 단점

MFI 지표는 천정과 바닥을 찾는 지표로 최적화되어 있지만, 추세가 강한 그래프에서는 과열권이 지속되며 기준선이 닿지 않고 계속 상승하는 흐름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에서는 투자지표로서 활용하기 어렵죠.
다음으로는 주가가 소폭 등락만을 반복할 때인데요. 50을 중심으로 위아래로만 움직이고 과매수, 과매도 기준선에는 닿지 않기 때문에 이때도 MFI 지표를 이용하기 쉽지 않습니다.

정리

따라서 MFI는 어느 정도 가격의 등락이 큰 종목에서 박스권으로 횡보할 때 좋은 지표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충분히 공부하시고 차트에 적용해보며 연습해보시면 충분히 사용하기 괜찮은 지표라고 생각되실 겁니다.
이상 암지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