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일목균형표 지표의 뜻과 사용법

by 암지 2022. 9. 3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암지입니다.
오늘 설명해드릴 차트 지표는 일목균형표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주식시장에는 거래할 수 있는 기업들이 정말 무궁무진하게 많은데요. 그중에서도 거래를 피해야 할 종목들이 있는데 그에 대한 기준점을 잡을 수 있는 것이 바로 이 일목균형표입니다. 한번 자세히 보도록 할게요.

일목균형표 소개

일목균형표의 구성요소

일목균형표는 크게 전환선, 기준선, 후행스팬, 선행스팬 1, 선행스팬 2의 5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목균형표 적용 예시

1. 전환선

가장 최근 9일간 가격의 최고점과 최저점의 중간값을 선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단기 이동평균선으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2. 기준선

26일간의 최고점, 최저점의 중간값입니다. 중기 이동평균선으로 쓰입니다.

3. 후행스팬

현재의 종가를 26일 전의 위치에 표시한 선을 말합니다.

4. 선행스팬 1

전환선과 기준선의 평균값을 26일 후에 선행시킨 선을 말합니다. 9일, 26일의 이동평균선을 다시 평균을 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5. 선행스팬 2
최근 52일의 최고점과 최저점을 26일 선행시킨 선을 말합니다. 일목균형표에서 가장 장기적인 관점의 선입니다.

일목균형표를 이용한 매매기법

다소 생소한 단어가 많아 이해하기 어렵고 구성요소를 장대하게 설명했지만 사실 가장 주요하게 볼 점은 바로 구름대입니다.
구름대는 선행스팬 1, 2의 차이에 따라 생성되는 구름을 뜻하는데요. 단기, 장기 가격의 차이를 구름대로 표현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구름은 가격을 지지, 저항대로 활용이 되는데요.

음운 구름대 아래로 하락 추세
음운 돌파 상승 추세 전환
양운 지지대로 상승 추세


양운 = 선행스팬 1 > 선행스팬 2
음운 = 선행스팬 1 < 선행스팬 2

양운은 지지선, 음운은 저항선 역할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추세 전환도 볼 수 있죠. 만약, 음운에서 양운으로 바뀌면 상승 추세로서의 전환을 예측해볼 수 있습니다. 반대 상황이라면 하락 추세의 전환이겠죠?
만약 음운을 돌파하는 의미있는 양봉이 나왔다면 매수, 양운을 뚫고 하락하는 종목이 있다면 매도타점으로 보아야겠습니다.

피해야 할 종목?

종목 선택 시 구름대의 위쪽에 있는 것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양운 구름대를 지지받으며 주가가 상승 추세를 의미하기 때문이죠.
이렇게 일목균형표는 하락 추세의 종목들을 피할 수 있게 해주고, 앞으로의 가격 예측도 가능하게 해주는 효자 지표라 할 수 있습니다.

총평

주식시장에서 퇴출되지 않고 꾸준히 투자를 하기 위해선 다양한 보조지표를 배우고 적용해보며 매수, 매도 시 근거를 가지고 접근해야 합니다. 그냥 단지 좋아보여서, 오르고 있어서 산다면 투자가 아닌 도박에 가깝다고 할 수 있죠.
이번에 배우신 일목균형표도 그냥 읽고 끝내지 마시고 다양한 종목들에 적용해보고 실제로 맞는지 확인해보세요. 100% 맞는 기법은 없으나 상당히 잘 들어맞습니다.
이상 암지였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E PER PBR 이란 무엇일까?  (1) 2022.10.03
호가창 보는법과 매매법  (0) 2022.10.01
MACD의 개념과 실전 적용법  (0) 2022.09.29
볼리저 밴드의 뜻과 매매기법  (0) 2022.09.28
RSI 의 정의와 매매기법  (0) 2022.09.27

댓글